-
안전 교육활동의 실행 2영유아 건강과 안전 교육 2025. 4. 16. 18:39
(3) 교통안전
교통안전은 보행 안전과 승차 안전으로 나눌 수 있다. 어린이집에서 보행 안전 지도가 이루어지는 상황은 ㅇ견학을 나간 경우다. 영유아는 보행할 때 인도 안쪽으로 걷도록 하며 걸으면서 뒤돌아보는 등의 장난을 치지 않도록 지도한다.
좁은 골목길에서 자동차가 지나가면 벽 쪽으로 등을 대고 서서 차가 지나갈 때를 기다리도록 하며, 골목길이나 주차장 등에서는 공놀이 등을 하지 않도록 한다. 좁은 골목에서 차도로 나올 때는 앞뒤 좌우를 살펴보며 갑자기 뛰어나오지 않도록 주의한다.
비가 올 때는 우산을 높이 들고 차도 가까이 걷지 않도록 지도하며, 빙판길에서는 주머니에 손을 넣거나 친구들과 손을 잡고 걷지 않도록 지도한다. 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를 건널 때에는 녹색 신호등이 켜지고 왼쪽에 차가 멈춘 것을 확인한 후 건너도록 지도한다. 녹색신호가 깜박일 때는 무리하게 건너지 않도록 하며, 차가 오는 방향을 바라보고 차가 정차되는 것을 확인하면서 건너가도록 하며, 차가 오는 방향을 바라보고 차가 정차되는 것을 확인하면서 건너가도록 지도한다. 신호등이 없는 횡단보도는 반드시 성인과 함께 건너도록 하며, 운전자의 얼굴을 보면서 손을 들고 건너도록 지도한다.
등 · 하원 차량이나 견학을 위하여 버스를 이용할 때는 반드시 교사의 지도하에 차량에 탑승하고 하차하고, 보도나 기타 안전한 장소에서만 영유아가 타고내리도록 지도한다. 또한 탑승 시에는 의자 등받이에 등을 바싹대고 바른 자세로 앉아 반드시 안전벨트를 착용하며, 운행 시 자리를 이탈하여 돌아다니는 일이 없도록 지도한다. 안전벨트를 착용할 때는 하나의 안전띠를 두 명 이상의 영유아가 함께 착용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창문을 열고 얼굴이나 손을 내미는 행위도 하지 못하도록 지도한다. 차량을 기다릴 때는 보도에서 차례로 줄을 서서 기다리며, 다가오는 차량을 행해 뛰어가지 않고 반드시 차량이 멈춘 뒤에 차례차례 타도록 지도한다. 하차 시에는 완전히 차량이 선 다음에 앞에서부터 차례대로 내리며, 계단은 한 칸씩 내려오도록 지도한다.
창문을 닫을 때는 반드시 영유아의 손이나 발, 옷자락이 문에 걸렸는지 확인한 다음 창문을 닫고 출발해야 한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일이 있을 경우에는 반드시 안전선 안에서 기다리며, 열차가 멈추면 내릴 사람들이 모두 내린 후에 타도록 지도한다. 하차 시에는 지하철과 승강장 사이에 발이 빠질 염려가 있으므로 잘 살핀 후 안전하게 타고 내리며, 문이 닫히려고 할 때는 무리하게 타지 않도록 지도한다. 또한 객차 내에서는 돌아다니지 않도록 지도한다.
(4) 재난 안전
화재로 인한 안전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뜨거운 열기구가 무엇인지 인식하고 손을 대거나 함부로 조작하지 않도록 지도한다. 특히, 전기제품의 화재 위험성을 알도록 하여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지도한다. 그리고 평소에 소방 대피 훈련을 지속해서 실시하여 구체적인 대피 방법을 익히고 소방 대피로와 소화기 위치 등을 알려 준다.
풍수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혼자서 절대로 밖에 나가지 않도록 지도하며, 맨홀이나 하수구 근처에 가지 않도록 지도한다. 또한 땅이 꺼져 있거나 웅덩이가 생긴 곳도 멀리 돌아가도록 지도한다. 지진이 발생한 경우에는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행동하도록 지도한다. 가까운 곳에 안전한 위치를 찾아 머리를 양 무릎 사이에 묻고 양손과 팔로 머리를 감싸는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도한다. 황사 시에는 외출을 삼가도록 지도하며, 외출할 경우에는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지도한다. 외출 후에는 어린이집에 돌아와 반드시 손과 발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하도록 지도한다.
(5) 대인 안전
대인 안전 지도는 아동학대 예방과 미아 및 유괴 방지를 위해 실시되어야 한다. 아동학대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영유아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히 부모나 성인에게 전달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교육해야 한다. 또한 학대받을 경우 교사나 주변의 믿을 만한 성인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구체적인 신고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도 필요하다.
특히, 성 학대 또는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신과 다른 사람 몸의 소중함을 알게 하고, 기분 좋은 접촉과 기분 나쁜 접촉을 구별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어른이 요구할 때에도 때로는 자기주장을 하거나 거절할 수 있음을 알려주고, 싫은 느낌으로 접근하거나 만지려는 사람에게 '싫어요'라고 말하도록 지도한다.
영유아에게 어려운 일이 생기면 비밀로 하지 말고 반드시 교사나 부모에게 알려 줄 것을 평소에 이야기해 준다. 또한 모르는 사람이 와서 친구를 데리고 가면 즉시 어른들에게 이야기하도록 지도한다.
유괴 및 미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낯선 사람이 길을 물을 때 말로만 알려 주고 절대 따라가지 않도록 지도한다. 낯선 사람과는 함부로 이야기하지 않으며, 낯선 사람의 차는 절대로 타지 않도록 지도한다. 낯선 사람이 주는 돈이나 과자, 아이스크림 등을 부모나 교사의 허락 없이는 받아먹지 않도록 지도하며, 나쁜 사람들도 친절할 수 있고 여자일 수 있으며 아는 사람일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해 준다. 산책하러 가가거나 견학을 갔을 때는 절대로 일행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를 주며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시에 서로 만날 구체적인 장소를 미리 정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리고 자신의 이름과 집 주소, 집 전화번호, 어린이집 이름, 부모의 이름과 직장 전화번호 등을 외우도록 하고, 공중전화를 걸 수 있는 방법과 비상시 신고 전화를 알려 준다.
유괴 및 미아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등 · 하원 지도가 중요하다. 교사는 영유아가 부모와 함께 등 · 하원을 할 수 있도록, 즉, 등 · 하원 시 부모 곁을 이탈하는 일이 없도록 지도한다. 또한 등 · 하원할 때는 반드시 교사에게 인사를 하도록 지도하여 교사가 영유아의 등 · 하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6) 약물 안전
영유아에게 약을 먹일 때 사탕이나 딸기시럽 등이라고 하면서 먹이지 말아야 한다. 이럴 경우 영유아가 약을 과다 복용하여 약물중독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자기 약만 먹을 수 있다는 점도 알려 주어야 한다. 또한 약을 먹을 때에는 바른 자세로 차근차근 먹도록 지도한다.
락스나 세제, 살충제 등도 함부로 먹거나 만지지 않도록 지도한다. 만약 위험한 물질을 발견한다면 반드시 교사에게 가지고 올 수 있도록 지도한다. 이 외에도 커피로 만든 얼음과자, 콜라, 청량음료, 가공식품 등의 유해성을 유아에게 교육하여 많이 마시지 않도록 지도한다. 그리고 음주와 흡연의 유해성을 알려 영유아기부터 예방 교육을 하는 것도 중요하다.
'영유아 건강과 안전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유아 안전 교육 지도 시 교사의 역할 (1) 2025.04.17 안전 교육활동의 실행 1 (0) 2025.04.15 안전 교육활동의 계획 2 (0) 2025.04.15 안전 교육활동의 계획 1 (0) 2025.04.14 영유아의 안전사고 관리 (0) 2025.04.13 약물 안전 (0) 2025.04.12 재난 안전 교육 2 (0) 2025.04.11 대인 안전 (0)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