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영아의 신체운동 발달 2영유아 보육 2025. 4. 19. 19:26
2) 소근육 신체운동 발달 (1) 손 펴기 아기는 주먹을 쥐고 태어난다. 영아를 목욕시킬 때 손가락을 펴기가 쉽지 않다. 하나를 펴 놓으면 하나를 오므린다. 즉 영아는 손을 펴는 것이 발달과업인 셈이다. 어른의 손가락을 영아의 주먹 쥔 손안으로 넣으면 영아가 들어 올려질 정도로 아주 강한 힘으로 주먹을 쥐고 있다. 2개월경이 되면 이랬던 손이 조금씩 힘이 덜 들어가며 열리게 된다. 약간은 주먹 쥔 듯한 손이지만 훨씬 힘이 덜 들어가 있다. 손을 폈다 오므렸다 하기는 아직 어려우며 조금씩 손을 펴는 데 익숙해지면서 스스로 오므렸다 폈다가 가능해진다. (2) 쥐여주면 잡기 4~5개월 정도 되면 영아의 손을 제법 오므렸다 펴기가 된다. 이때 양육자가 영아의 손에 물건을 쥐여 주면 잡기도 한다. 그러나 ..
-
영아의 신체 운동 발달 1영유아 보육 2025. 4. 19. 16:31
2. 영아의 주요 신체운동 발달 과업과 의미1) 대근육 신체운동 발달 (1) 목 가누기처음 태어났을 때 영아의 목에는 힘이 없다. 영아를 안을 때 목을 받치고 안아야 하는 이유이다. 이는 아직 골격이 성숙하지 않아서인데 1개월 정도가 지나며 영아의 꼿꼿이 머리를 세우려고 힘을 주게 된다. 이것이 2~3개월 정도 되면 수직으로 머리를 들 수 있게 발달한다. 3개월이 지나면 엎드려 놓으면 머리와 어깨를 올릴 수가 있게 되어 목이 안정적으 되어간다. 4~5개월이 되면 목을 잘 가누게 되어 자유로운 자세로 목을 세울 수 있고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2) 뒤집기 뒤집기는 영아가 세상에 태어나 처음으로 자기 몸을 자신의 힘으로 움직여 보는 것이다. 누워있는 상태에서 엎드린 상태로 뒤집는 것이 먼저..
-
1~12개월 영아의 신체운동 발달 특성영유아 보육 2025. 4. 19. 00:53
*** 영아의 월령별 신체 운동 발달 특성 영아기는 신체적 성장이 급속도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영아기의 신체적 성장은 '성장 급등기'라고 불릴 만큼 그 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진다. 특히, 출생 후 1년간은 전 생애에 걸쳐 가장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는 시기로 두뇌 발달에 결정적인 시기이며 새로운 운동기능과 감각 능력이 빠르게 발달한다. 생후 1년 동안 영아는 신장과 체중 면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그뿐만 아니라 골격과 근육, 중추신경계 등의 신체 내부의 발달도 빠르게 이루어진다. 신체 각 부분의 상대적인 비율도 키의 성장과 몸무게의 증가와 함께 달라져 머리 크기는 출생 때에 몸 전체의 1/4이었던 것이 1세가 되면 1/5로 줄어들게 된다. 운동 기능의 발달도 빠르게 이루어진다. 대근육 측면에서는 누워서 자..
-
영아기의 의미영유아 보육 2025. 4. 17. 16:17
영아기는 생애 가장 초기이다. 이 시기에 발달은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며, 질적으로도 많은 변화가 생긴다. 또 이 시기의 발달은 이후 성장과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영아기의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영아기가 얼마나 중요한지 이해하고 더불어 영아 발달에 있어서 이해해야 할 발달의 특성 및 원리 등을 살펴보는 것은 영아 성장 및 발달을 좀 더 깊이 있게 생각해 보는 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영아를 돌보는 교사는 이러한 영아기의 의미를 되새기고 이 시기에 중요한 성장 및 발달 특성을 교육적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을 때 영아에 대한 올바른 보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1. 영아기의 중요성 영아기는 생후 3년 동안을 의미한다. 이 시기의 중요성을 이야기할 때 언제나 화두가 되는 것은 '성장 ..
-
영유아 안전 교육 지도 시 교사의 역할영유아 건강과 안전 교육 2025. 4. 17. 00:13
안전 교육 시 요구되는 영유아 교사의 구체적인 역할은 응급처치나 재난구조 안전교육처럼 신속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도 있지만, 영유아 안전의 권리 옹호처럼 다차원적이면서도 지속해서 접근하여야 하는 경우도 있다. 영유아에게 안전교육을 할 때 교사가 유의해야 할 사항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 영유아 안전 교육 지도 시 교사의 유의 사항(1) 영유아 발달단계에 적절한 안전 교육 연간 계획안 구성 효과적인 안전교육을 위해 영유아의 연령에 따라 교육 내용을 구분하고 프로그램의 내용 또한 연령별로 자주 발생하는 영유아 안전사고 유형 및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동시에 부모와 사회의 요구, 지역사회의 특성을 반영하여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연간 계획안을 구성한다. (2) 구체적인 안전교육 자료 ..
-
안전 교육활동의 실행 2영유아 건강과 안전 교육 2025. 4. 16. 18:39
(3) 교통안전 교통안전은 보행 안전과 승차 안전으로 나눌 수 있다. 어린이집에서 보행 안전 지도가 이루어지는 상황은 ㅇ견학을 나간 경우다. 영유아는 보행할 때 인도 안쪽으로 걷도록 하며 걸으면서 뒤돌아보는 등의 장난을 치지 않도록 지도한다. 좁은 골목길에서 자동차가 지나가면 벽 쪽으로 등을 대고 서서 차가 지나갈 때를 기다리도록 하며, 골목길이나 주차장 등에서는 공놀이 등을 하지 않도록 한다. 좁은 골목에서 차도로 나올 때는 앞뒤 좌우를 살펴보며 갑자기 뛰어나오지 않도록 주의한다. 비가 올 때는 우산을 높이 들고 차도 가까이 걷지 않도록 지도하며, 빙판길에서는 주머니에 손을 넣거나 친구들과 손을 잡고 걷지 않도록 지도한다. 신호등이 있는 횡단보도를 건널 때에는 녹색 신호등이 켜지고 왼쪽에 차가 멈..
-
안전 교육활동의 실행 1영유아 건강과 안전 교육 2025. 4. 15. 18:37
1> 안전 지도의 실제 교사는 보육을 제공하는 하루 일과 중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안전 지도를 할 수 있다. 교사는 매 순간 다음과 같이 안전 지도를 해야 함을 항상 염두에 두고 보육해야 한다. (1) 보육환경 안전 교사는 보육환경 안전 지도에 있어 보육실, 화장실, 계단, 창문, 베란다 등에서의 안전을 지도해야 한다. 보육실에서는 영유아가 양말을 벗도록 지도하여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며, 전기제품들을 함부로 만지지 않도록 지도한다. 가구나 책상 위에 올라가지 않도록 지도하며, 의자에 앉을 때도 바른 자세로 앉도록 지도한다. 화장실을 갈 때는 3세 이하의 영유아 경우 반드시 성인이 동행하여 안전사고에 대비한다. 특히, 화장실 바닥은 미끄러울 수 있으니 영유아가 서로 밀지 않도록 지도한다. ..
-
안전 교육활동의 계획 2영유아 건강과 안전 교육 2025. 4. 15. 00:30
3> 안전 교육활동의 활동 방법 안전 교육활동의 활동 방법으로는 설명하기 및 시연하기, 토의, 문제해결, 역할 놀이, 모델링, 시뮬레이션이 있다. (1) 설명하기 및 시연하기 어떠한 사실을 직접 설명하거나 시범 보이기 등의 교수 방법은 영유아가 안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데 도움을 준다. 구두 설명이나 시범을 통해서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유아가 안전 행동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어 안전 기술을 가르치는 데 효과적이다. 교사는 안전과 관련된 주제에 따라 시간을 정해 놓고 직접 설명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시연하기는 특히 안전 태도 및 기술을 훈련는 데 큰 효과가 있다. 예를 들면, 화재에 대한 안전 교육, 가정에서의 안전 및 보행자 안전 기술을 학습하는 데 있어 매우 효과적이었다. 설명하..